반응형
고부 군수 조병갑의 폭정에 반기를 든 전봉준과 농민들이 탐학을 일삼는 관리들을 쫓아내고 농민자치기구인 집강소를 두어 외세를 몰아내고 부패한 세상을 바로잡기 위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외세를 등에 업은 지배계급에 의해 동학농민군은 무자비하게 탄압을 당한 뒤 패배하고 전봉준이 처형되면서 실패로 끝난다.
이 노래는 당시 농민들이 전봉준을 생각하는 마음이 담겨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반응형
'대중 음악 > 사회 속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멕시코 농민혁명과 <라 쿠카라차> (0) | 2015.09.22 |
---|---|
러시아 농민 혁명과 <스텐카 라진> (0) | 2015.09.07 |
인종 차별에 항거하다 (0) | 2015.08.08 |
솔아 솔아 푸르른 솔아 - 민주화에 대한 열망 (1) | 2015.07.24 |
민주화에 대한 열망을 음악으로 표출하다 (0) |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