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法과 정치/사회생활법35 ‘청문聽聞’ 제도에서 청문의 효과 〈 청문의 효과 〉불합리하거나 억울한 행정 처분의 최소화많은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는 사후 구제 절차의 간소화국민이 직접 행정에 참여하여 ‘대화’하고 소통하는 행정’을 실현처분을 하기 전에 국민의 권익 침해를 사전에 예방 2016. 10. 11. 불리한 행정 처분의 ‘소명 기회’가 늘어난다 호프집을 운영하는 ○○○씨는 청소년에게 주류를 제공했다는 이유로 2개월 영업 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런데 청문 과정에서, 주민 등록증이 위조된 사실을 알 수 없었던 점 등 구체적인 정황을 청문 주재자에게 적극적으로 소명했더니, 행정청은 영업 정지 2개월을 20일로 감경 처분하였다. 현재 청문은 개별 법령에서 청문을 하도록 규정한 경우나 행정청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경우에 한해 실시되고 있는데, 지난해 실시된 총 4만여 건의 청문 중 행정청이 자발적으로 청문을 실시한 경우는 7,000여 건에 불과하고, 대다수 청문이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행정안전부는 행정 기관이 국민에 대해 불리한 처분을 할 경우, 제3자인 청문 주재자가 국민의 의견을 직접 듣고 처분의 취지와 내용을 설명하는 ‘청문聽聞’ 제도를 확대할 .. 2016. 9. 19. 행정 심판과 행정 소송을 통한 쟁송 해결 민원으로 시정되지 않은 부분은 행정 심판을 제기하여 해결하여야 한다. 행정 심판이란 행정상 분쟁을 법원이 아닌 행정 기관에서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행정 심판은 행정 기관의 하나인 행정 위원회에서 주로 진행된다. 행정 심판은 행정 기관의 행위가 법률에 어긋나는지를 판단할 뿐만 아니라 법률 위반은 아니더라도 합당한 목적을 가진 행정 작용이었는지, 혹시 부당한 조치는 아니었는지도 심리·판단할 수 있다. 행정상 분쟁은 행정 심판 이외에 행정 법원이나 일반 법원에 소송을 제기하여 해결할 수도 있다. 행정 소송은 행정 법규가 적용되는 분쟁의 처리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행정 심판과 유사하나, 신중한 소송 절차를 거쳐 독립한 법원이 주관하는 정식 재판이라는 점에서 행정 기관이 맡는 행정 심판과 구별된다. 행정 소.. 2016. 8. 28. 온 라인으로 행정 서류 발급받기 행정 안전부(현 안전 행정부)는 각종 정부 민원을 전자적으로 처리하는 정부 민원 포털 명칭을 ‘민원 24’로 변경하고, 그에 맞춰 새로워진 홈페이지를 지난 8월에 선보였다. 2002년 11월부터 온라인 민원 서비스를 시작한 행정 안전부(현 안전 행정부)는 지난해부허 민원 서비스 선진화 사업을 추진한 이래 온라인 민원 이용이 큰 폭으로 증가함에 따라,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이름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 신문, 2010. 10 - 2016. 8. 7. 민원의 종류와 처리 과정 행정 민원이라 함은 국민이 행정 기관에 대하여 특정한 행위를 하여 달라고 요구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민이 국가 기관을 상대로 민원을 제기하는 것은 상당히 불편하고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민원 사무를 공정하게 처리하고 민원 행정 제도를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민원 사무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 법에 따르면 행정 기관은 민원 사무를 관계 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다른 업무에 우선하여 처리하여야 하며, 민원인 1회 방문으로 민원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아울러 처리 결과른 원칙적으로 민원인에게 문서로 통지하여야 한다. 이때 통지하는 내용이 민원인의 신청을 거부하는 것이라면 그 이유와 구제 절차도 반드시 함께 알려 주어야 한다. △국민의 민원 사항에 신속하게 .. 2016. 7. 19. 감독관 실수로 수능을 망쳤다면 국가가 어떤 책임을 져야 할까? 수능 시험 도중에 감독관의 실수로 불안감을 느껴 시험을 망쳤다면 국가가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A 군은 2006년 겨울 서울의 Y고등학교 고사장에서 수능 시험을 보다가 어처구니없는 일을 겪었다. 3교시 외국어 영역 시험 시간에 감독관인 김 모(52) 교사가 A군의 답안지에서 '감독관 확인란'이 아닌 '결시자 확인란'에 도장을 찍은 것이 뒤늦게 발견되었던 것이다. 김 모 교사는 자신의 실수를 바로 잡으려고 A군을 시험 통제 본부로 불렀고, 쉬는 시간을 이용해 답안지를 다시 작성하도록 하였다. A군은 서둘러 답안지를 작성하고 4교시 시험이 시작되기 전에 고사실로 돌아가 시험을 보았으나, 4교시 과목에서 평소보다 낮은 점수를 받아 원하던 대학에 떨어지고 말았다. 이 사건을 맡은 서울 중앙 지방 법원 .. 2016. 6. 28.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