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樂이란/기보법14 정간보 연주와 읽는 법 정간보 연주와 읽는 법 2015. 9. 18. 정간보의 유래 및 표기법 조선 시대 세종 대왕이 만든 동양 최초의 유량 악보인 정간보는 '우물 정井'자 모양으로 간間을 질러 놓고 거기에 율명을 적어 넣은 악보이다. 정간보의 표기법 2015. 8. 31. 오음악보와 연음표 오음악보 12율명을 쓰지 않고 궁宮을 중심으로 표시하여 이 궁에서부터 음계를 쫓아 윗음은 上 한자 밑에 一, 二, 三 ····· 를 붙여 표기하며, 아래 음은 下 한자 밑에 一, 二, 三 ····· 를 붙여 위 아래의 음을 약자로 표기한다. 연음표 조선 후기 가객들에 의하여 가곡의 선율을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창안된 일종의 부호이다. 2015. 8. 13. 공척보, 육보, 합자보 - 국악 기보법 공척보 당나라 속악을 기보하는 데 쓰이는 기보법으로 12율 4청성의 16개 음을 10개의 글자로 줄여 쓰는 방법이다. 약자보는 공척보의 문자를 약자로 간단히 적는 기보법이다. 육보 육보는 악기의 소리를 흉내내거나 구음으로 나타내는 기보법이다. 합자보 합자보는 현악기 연주법에 필요한 줄 이름, 괘의 순서, 손 짚는 법 등을 약자로 표기화하여 만든 악보이다. 2015. 7. 26. 율자보 - 국악 기보법 율자보는 음의 녿낮이를 12율명의 첫 자로 표시한 문자보다. 2015. 7. 8. 숫자보 - 오페라 '리골레토' 음표 대신 숫자 등을 사용해서 음을 나타내는 악보를 숫자보라고 한다. 2015. 6. 2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