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황조가는 고구려의 유리왕이 직접 지은 곡으로 구전되어 형태가 불분명하다.
정읍은 전주에 있는 고을의 이름이며 '정읍사'는 한글로 쓰여진 최고의 노래로 현존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다. 『악학궤범』에 나오는 원문으로 표기한 것으로 괄호로 표기한 부분은 원문을 현대어로 나타낸 것이다.
반응형
'악樂이란 > 간편 음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려 시대 「낙양춘」 (0) | 2016.05.11 |
---|---|
신라 시대 향가 「서동요」와 불교 음악 「범패」 (0) | 2016.04.26 |
상고 시대의 철기 시대 현악기 유물 (0) | 2016.03.27 |
국악사 연대표 - 삼국시대부터 근·현대까지 (0) | 2016.03.13 |
한국 현대 음악 계승과 발전 (0) | 2016.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