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세종 때 정간보의 창안과 더불어, '보태평', '정대업', '여민락'과 같은 기악곡이 만들어졌으며 박연에 의해 아악이 정리되었다. 또한 편종, 편경 등의 악기 제작 및 음악 관장 기관인 관습도감과 악기도감이 설치되었다. 세조 때 오음악보를 창안하여 '보태평'과 '정대업'을 고쳐 종묘 제례악으로 채택하였으며, 성종 때 『악학 궤범』이 편찬되었다.
반응형
'악樂이란 > 간편 음악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 시대의 음악 백과 사전, 『악학궤범』 (0) | 2015.10.20 |
---|---|
동양 최초의 유량 악보, 정간보 (0) | 2015.10.01 |
당악정재 - 궁중 무용의 총칭 (0) | 2015.08.25 |
고려 시대 연등회와 팔관회 (0) | 2015.08.07 |
고래 시대 음악(918~1392년)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