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현 육각은 우리나라의 크고 작은 거의 모든 행사 음악에 사용되었다.
혼례나 회례 등의 축제에서부터 승무, 겸무, 탈춤 등 민속 무용의 반주, 귀인의 행차를 위한 행진 음악과 상여 소리에 이르기까지 관아나 민가의 구분 없이 여러 의식에 두루 필요한 실용 음악으로 연주되어 왔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무동〉
이 춤은 반주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 편성을 '삼현 육각'이라 한다. 그림 왼쪽 위에서부터 좌고1, 피리2, 대금1, 해금1이다.
반응형
'악樂이란 > 악기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을 울려 소리를 내는 대금 (0) | 2016.05.08 |
---|---|
작지만 당찬 소리를 내는 피리 (0) | 2016.04.23 |
다양한 타악기로 연주해 보기 (0) | 2016.03.24 |
타악기 만들어 악기 원리 이해하기 (0) | 2016.03.09 |
타악기 기타의 악기들 (0) | 2016.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