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적으로 악기를 크게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3가지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분류 방법은 세상의 모든 악기들을 분류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못한다. 설령 분류한다고 해도 특정한 악기들 외에 세상의 많은 악기들이 분류 방법에서 왜곡될 수밖에 없다.
세계의 수많은 나라들 중에서 중국과 인도, 서유럽의 음악 문화만이 악기들의 분류 방법을 연구·개발해 왔다. 고대 중국의 분류 방법은 금속, 돌, 흙, 가죽, 비단, 박, 대나무, 나무 등 8가지의 악기 제작 재료[八音]에 근거하고 있다. 기원전 1세기경 고대 인도의 음악 문헌 『나타샤스트라』에 의하면 악기를 심벌즈, 공, 종을 하나로 분류하고, 그 외 북, 현악기, 관악기 등 4개의 악기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벨기에 브뤼셀음악원의 악기박물관장이었던 마이용이 1880년에 하나의 악기 분류 체계를 개발하고, 그것을 1914년에 작스 1와 호른보스텔 2이 수정·확대하였는데, 그들은 악기를 몸울림악기, 막울림악기, 줄울림악기, 공기울림악기의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3
반응형
'악樂이란 > 악기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악기의 구조 - 바이올린, 첼로, 더블 베이스 (0) | 2015.05.15 |
---|---|
현악기 소리의 발생 원리 (0) | 2015.05.06 |
현악기의 기원과 역사 - 기타라Kithara, 비올라Viola (0) | 2015.04.27 |
보편적인 악기 분류 체계 (0) | 2015.04.17 |
악기학에서 정의하는 악기 (0) | 201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