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3성의 경우는 가까운 음으로 선율적으로 자연스럽게 진행시킨다. 베이스의 경우는 뛰어가기를 많이 활용할 수 있다.
화성적 연결
공통음(두 화음에 공통되는 음을 말한다. 예, Ⅰ도 화음과 Ⅴ도 화음의 공통음 : 솔)을 같은 성부에 머무르게 하는 진행이다.
선율적 진행
공통음과 관계없이 가까운 방향으로 진행한다.
Ⅰ- Ⅴ, Ⅰ- Ⅳ의 연결에서는 공통음을 같은 성부에, 나머지는 가장 가까운 음으로 진행시킨다.
Ⅳ - Ⅴ의 경우 근음인 '파'와 '솔'이 2도 순차적으로 진행되는데, 상3성은 근음 즉 베이스에 대하여 반진행하게 된다.
단조의 경우 원칙적으로 화성 단음계를 사용하는데, 이때 선율적으로 생기는 증2도는 피하는 것이 좋다. 증2도를 피하기 위해서는 가락 단음계를 적절하게 활용한다. 선율적 증음정은 절대적으로 금한다. 감음정으로 변화시켜 반진행으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
Ⅴ - Ⅳ의 연결은 일반적으로 피하며 Ⅴ - Ⅳ6, Ⅴ - Ⅳ - Ⅴ의 진행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활용된다.
반응형
'악樂이란 > 화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금3화음(부3화음) : 주요3화음이 아닌 화음(ⅱ, ⅲ, ⅵ, ⅶ) (0) | 2016.09.01 |
---|---|
주요 3화음의 자리바꿈화음의 연결 (0) | 2016.08.17 |
화음의 진행 - 선율 진행과 화성 진행 (0) | 2016.07.24 |
주요 3화음의 중복과 생략 (0) | 2016.07.09 |
혼성4부 합창 각 성부의 음역 (0) | 2016.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