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는 1987년 이후 시민 단체의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1990년대에 다양한 시민 단체들이 생겨났다. 초기 시민 단체는 주로 선거나 정치 개혁에 관련된 운동을 하였으나 점차 경제, 복지, 언론, 지방 자치 등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해 왔다. 시민 단체는 정치권력의 집중과 남용을 감시하고 견제하였을 뿐 아니라 부정부패를 척결하고, 깨끗하고 공정한 선거 풍토를 조성하는 등 정치 민주화에도 이바지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이나 지역 사회와 관련된 문제들을 개선함으로써 풀뿌리 민주주의의 실현에도 큰 역할을 하였다. 앰네스티, 그린피스, 유니세프 등 국제 연대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국제 문제의 해결과 인류의 복지 향상에도 공헌해 왔다. 이처럼 시민 단체가 더욱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드는 데 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