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묘 제례악은 종묘에서 조선 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시고 종묘 제례를 지낼 때 춤과 노래와 함께 연주하는 음악이다.
종묘 제례악은 본래 세종대왕이 회례악으로 창작하였으나 세조 때부터 제례악으로 사용되어 지금까지 전승되고 있다. 매년 5월 첫째 일요일에 봉행하는 종묘 대제에서 ‘보태평’ 11곡과 ‘정대업’ 11곡이 연주되고 있다.
△ 댓돌 위에서 연주하는 증가
종묘 제례악은 조선 시대의 기악 연주와 노래, 춤이 어우러진 궁중 음아의 정수로서 오랫동안 원형이 잘 보존되어 왔으며, 우리의 문화적 전통과 특성이 잘 나타나 있어 유네스코에 종묘 제례와 함께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반응형
'악樂이란 > 악기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 제례의 절차와 종묘 제례악 (0) | 2016.10.21 |
---|---|
“보태평” 중 ‘희문’ (0) | 2016.09.30 |
채로 쳐서 소리내는 양금 (0) | 2016.09.04 |
선비들의 사랑을 많이 받던 거문고 (0) | 2016.08.22 |
국악기를 대표하는 가야금 (0) | 2016.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