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75

사람의 목소리 - 소리 탐색 사람의 목소리는 '목소리'라는 단어 그대로 단순히 목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아니다. 성대가 똑같이 진동하더라도 혀의 위치, 입 모양에 따라 목소리는 달라진다. 흔히 '두성'이라고 하는 소리 역시 성대와 가까이 있는 머리 속의 공간들이 공명을 위한 울림통 역할을 하여 나오는 소리를 말한다. 이와 같이 목소리는 목뿐만 아니라 관련된 여러 기관들이 상호 작용하여 발생한다. 사람은 자신이 내는 목소리를 귀로 듣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조절한다. 이 점은 시각과 청각의 큰 차이점을 말해 준다. 즉 눈은 외부의 사물을 보고 뇌에 전달하지만, 귀는 외부의 소리를 듣고 전달할 뿐만 아니라 이를 모니터링 하여 소리를 내는 데 조정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소리의 진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기의 흐름은 호흡기로.. 2015. 8. 28.
민주주의의 의미를 명료하게 정의해야 사람들은 민주주의라는 말을 일상생활에서 익숙하게 사용한다. 그래서 그 뜻을 새삼 묻지 않는다. 하지만, 민주주의는 그 말이 가리키는 대상이 없다. 즉 언어에 대응하는 지시물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의미를 다르게 담아 사용한다. 마치 여행용 가방처럼, 민주주의 속에 어떤 의미도 담을 수 있다. 독재 정치를 포함해 어떠한 정치 형태도 원하기만 하면 쉽게 민주주의로 담아낼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어떠한 정치 이념도 담아 낼 수 있다. 그래서 나폴레옹 제국도, 스탈린의 소비에트 체제도, 히틀러의 파시즘 체제도 모두 민주주의라는 탈을 쓸 수 있었다. 따라서 민주주의를 현명하게 논의하려면 민주주의 의미를 명료하게 정의하는 일이 필요하다. - 칼 베커C.L. Becker - 2015. 8. 27.
저작물의 범위 보호받을 수 있는 저작물의 범위 1. 우리나라 사람이 창작한 저작물2. 우리나라가 가입한 조약에 의해 보호되는 외국인의 저작물3. 우리나라에서 상시 거주하는 외국인의 저작물 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행된 저작물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의 기준(저작권법 제 7조) ①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②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③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④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 제 1호 내지 제 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⑤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 보도 2015. 8. 26.
당악정재 - 궁중 무용의 총칭 당악정재는 궁중 무용의 총칭으로 어떤 이야기의 줄거리를 각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노래와 함께 엮어가는 극적인 춤이 특징이다. 송에서 유행한 대곡의 영향을 받아 규모가 커졌다고 한다. 다악정재의 작품으로는 , , , 가 있다. 2015. 8. 25.
국제 관계와 국제법 인류 역사에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긴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자, 연합국 측에서는 전쟁을 일으킨 독일 전범들의 죄를 물으려고 재판을 열었다. 재판이 열린 장소의 이름을 따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 또는 뉘른베르크 국제 군사 재판이라고 불리는 이 재판은 통상적인 국내의 재판과는 그 양상과 규모 면에서 차원이 달랐다. 폴란드, 프랑스, 영국, 러시아, 미국 등 수많은 국가가 참여한 국제 전쟁에 대한 재판이었기 때문이다. 심판이 진행될 때에는 늘 영어와 러시아 어, 프랑스 어, 독일어의 4개 국어가 사용되었으며, 여러 국가 출신으로 이루어진 33명의 검사 측 증인과 61명의 피고인 측 증인이 동원되었다. 독일 측 피고인들은 모두 자신이 '무죄'라고 항변하였지만, 몇몇을 제외하고는 10년형에서부터 사형에 이르는 .. 2015. 8. 24.
동학혁명과 <새야 새야> -농민 저항 운동의 노래 고부 군수 조병갑의 폭정에 반기를 든 전봉준과 농민들이 탐학을 일삼는 관리들을 쫓아내고 농민자치기구인 집강소를 두어 외세를 몰아내고 부패한 세상을 바로잡기 위한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외세를 등에 업은 지배계급에 의해 동학농민군은 무자비하게 탄압을 당한 뒤 패배하고 전봉준이 처형되면서 실패로 끝난다. 이 노래는 당시 농민들이 전봉준을 생각하는 마음이 담겨 지금도 전해지고 있다. 2015.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