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대 시민 혁명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사람으로 평가받는 로크는, "정부에 관한 두 논고"에서 정치권력을 입법권과 집행권으로 분립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입법권은 개인의 자유, 생명, 재산을 보장하기 위해 자연법의 의미를 해석하고 확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집행권은 입법 기관에 의해 확정된 법을 현실에 적용하고 판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권 분립론은 절대 왕정 당시의 사상적 토대였던 왕권신수설을 비판하는 가운데 왕과 대립 관계에 있던 의회에 입법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이론적 토대가 되었다.
- "정부에 관한 두 논고" -
반응형
'법法과 정치 > 민주 정치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의(의회) 민주제의 탄생 (0) | 2016.05.07 |
---|---|
직접 민주주의 형태의 사례 (0) | 2016.04.22 |
민주주의의 진단 - 매키버 제시 (0) | 2016.03.17 |
권력 분립의 원리 - 법은 권력 행사의 근원 (0) | 2016.02.29 |
입헌주의의 원리 - 국가는 헙법에 근거 (0) | 2016.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