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중 음악/매체와 음악 42

외국의 표절 사례

1976년 비틀즈 출신 조지 해리슨의 'My sweet lord'가 시폰즈의 'He's so fine'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일자 원작자는 소송을 제기했다. 그 결과, 법원은 '잠재의식적 표절'이라는 죄명으로 표절로 판결했다. 다시 말해 작곡가가 의도적으로 원곡을 베끼려 하지 않았어도 무의식적으로 두 곡이 같은 곡으로 나타나면 표절이 될 수 있다는 판례였다. 이 사건으로 조지 해리슨은 도덕적으로 상처와 타격을 입고 저작권과 음반 판매 수익 전체를 원작자에게 넘겨야 했다. 이는 영미 음악 사회에서 표절이나 그와 유사한 행위를 용서받을 수 없는 범죄로 여기고, 저작권을 얼마나 꼼꼼하게 적용하는 지를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이다.

끊임없는 표절 논란

가수들에게 표절 시비는 한번쯤 거치는 통과 의례가 된듯 인기 가수들의 표절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항상 논란은 있지만 명확한 판결이 없는 현실에서 가요계의 끊이지 않는 표절 논란의 원인과 해결책을 맞아본다. 아울러 생활 속에서 접하게 되는 음악 저작물의 저작권에 대해 알아보고, 저작물을 바르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표절 논란이 심하게 불거졌던 인기 아이돌 그룹의 가수 A의 노래 '★'은 외국 가수 G의 노래 '●'와 비슷하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또한 가수 D는 자신의 앨범 '◐' 수록곡 중 6곡이 표절임을 인정했다. 가수 A는 표절 논란에 대해 강경하게 부인하다가 이후 표절 논란이 있었던 원곡 가수들과의 합동 작업으로 비난 여론에 맞섰다. 원곡 가수 E가 직접 피처링한 '◀'를 가수..

전기를 쓰는 악기 - 전자 드럼

드럼Drum은 타악기로서 밴드가 연주하는 곡의 분위기와 리듬, 템포를 이끌어 나간다. 일반적으로 어쿠스틱 악기를 많이 쓰지만 드럼 패드와 드럼 머신을 사용하기도 한다. 밴드 드럼 세트는 기본적으로 베이스 드럼Bass Drum, 스네어 드럼Snare Drum, 탐탐Tom Tom, 하이 햇Hi-Hat, 크래쉬 심벌Crash symbal, 라이드 심벌Ride Symbal 등을 갖춘다. 드럼 패드는 얇은 플라스틱 패드 아래에 빅업Pic-up이 있어 두드리는 세기를 감지하여 패드를 채로 두드리면 전기 신호가 북 소리와 비슷한 소리를 낸다. 드럼 머신은 전기를 이용해 드럼과 비슷한 소리를 내는 기계로 어떤 밴드는 가끔 드럼 주자 대신 드럼 머신을 쓰기도 한다.

전기를 이용한 악기, 전자 기타

20세기 초부터 발달해 온 전자 악기는 일반 어쿠스틱 악기들보다 더 큰 소리를 다양하게 낼 수 있게 되면서 대규모 공연이 가능하게 되었다. 전자 악기는 어쿠스틱 악기와 연주 방법은 같지만, 증폭기로 소리를 확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자 기타 1950년대부터 유행한 전자 기타는 오늘날 팝과 록 음악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악기이다. 보통 밴드에서 사용하는 기타는 리드 기타, 리듬 기타, 베이스 기타가 주를 이룬다. 전자 기타는 장력이 센 스틸현과 몸체에 창착된 전기 장치를 견뎌 내려면 매우 튼튼해야 한다. 또, 소리를 전기로 증폭시키기 때문에 전기, 오디오 믹서, 앰프amplifier, 스피커, 연결 잭 등이 필요하다. 전자 기타의 현 아래 작은 금속판pick-up에는 금속판 위에 달련 둥근 버튼..

MP3와 MP4,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MP3(MPEG Audio Layer-3)는 음반 CD에 가까운 음질을 유지하면서 일반 CD의 50배로 압축이 가능한 새로운 디지털 음원의 시대를 열었다. MP3에 이어 MP4의 개발로 MP3 파일과 MP4파일로 만든 뮤직비디오 동영상은 언제 어디서나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무선 인터넷 기능을 가진 휴대 전화와 결합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PMP는 3인치 내외의 액정 화면을 통해 동여상 파일을 볼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이다. 정식 명칭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로, MP3, DVD, 하드디스크 등을 장착하여 언제 어디서나 각종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한 다재다능한 멀티미디어 기기이다. 대용량 하드디스크를 갖추고 있으며 휴대용 저장 장치..

음악와 영상이 함께하는 DVD

DVD(Digital Video Disc)는 1996년 DVD플레이어의 발매와 컴퓨터 DVD-ROM이 발매되면서 대중들에게 본격적으로 선을 보였다. 영상과 음향 매체의 발달로 TV와 영화를 보다 선명한 HD(High Definition) 화질과 역동적인 음향으로 감상할 수 있게 되었으며, 1990년대부터는 영상 매체의 발달로 눈으로 보는 음악 '뮤직비디오'의 시대가 본격화되었다. 디지털 영상 매체는 대중들이 언제 어디서나 영상과 음향을 만날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대중 음악의 중흥기 - LP, CD

대중 음악의 중흥기와 LP(Long-playing record) 1948년 미국 콜롬비아에서 마이크로그루브 방식을 개량하여 비닐계 재질로 1분에 33회전하는 레코드를 발매하였다. 이로 인해 레코드 계는 마침내 LP시대를 맞았다. 수록 시간은 한 쪽 면에 보통 30분 정도의분량이나 40분을 넘는 것도 있다. CD 디지털 시대를 열다 CD(Compact Disc)는 작은 원반에 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기억 매체이다. 네덜란드의 필립스와 일본의 소니는 1979년 CD를 개발하여 소리의 디지털 시대를 열었다. CD는 작은 원반에 많은 양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컴퓨터의 발달로 더욱 인기를 누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