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중 음악/매체와 음악 42

노다메 칸타빌레 - 음악 대학 배경

애니메이션 는 음악 대학을 배경으로 개성 넘치는 등장 인물들이 오케스트라를 꾸리며 벌이는 이야기이다. 만화 속에서 소개되는 교향곡과 협주곡, 소나타 등 주요곡의 작곡가와 작품, 악기의 특징이 대한 해설을 읽다 보면 그 음악을 듣고 싶게 만든다. 일본에서는 드라마로 만들어졌으며 국내 케이블 TV에서 방송되기도 하였다.

애니메이션 음악의 성공 사례

1960년대 할리우드 영화계에 70밀리 대형 스크린의 등장으로 스케일이 큰 스펙터클 영화가 인기를누리는 바람에 애니메이션의 인기는 매우 저조했다. 이에 디즈니사는 '애니메이션과 음악'의 접목을 대안으로 선택했다. 애니메이션은 특성상 음악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앨런 멩켄Alen Menken의 음악은 절묘하게 영화의 재미를 한층 높여 주었으며, 예술의 경지에 이른 3D 컴퓨터 그래픽 기술로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영상을 보여 주었다. 특히 중동지방을 무대로 한 에서 앨런 멩켄은 아라비아풍의 색을 선보여 영상과의 조화에 성공했다. 1989년 이후 1999년 까지 디즈니사가 성공의 행진을 계속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앨런 멩켄의 음악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애니메이션과 영화 음악

음악을 하는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만화, 드라마, 영화로 제작되어 화제이다. 영화를 볼 때 배경에 흐르거나 이야기의 일부로 나왔던 음악들은 흘려듣기 쉽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나 그 영화에 대해 다시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음악을 떠올리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여기서는 영화 속 장면에 생명을 불어넣어 주는 아름다운 음악을 통해 영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음악이 하는 역할을 알아보자. 애니메이션과 음악 최근 애니메이션과 영화에서 음악과 사운드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화면 속의 짜임새 있는 영상이 훌륭한 배경 음악(또는 사운드)과 결합되어 애니메이션에 현실감을 불어넣어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준다. 사운드는 대사와 효과음, 그리고 배경 음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캐릭터에 어떤 목소리가 덧입혀지느냐에 따..

저작권 보호의 당위성과 노력들

저작권의 보호 저작권은 생존과 사후 70년간 존속된다. 실연을 한 때, 음반을 발행한 때, 방송을 한 때 등 대중 앞에 선보였을 때의 그다음 해를 기점으로 계산하여 70년간 보호받는다. 경제 잡지 '포보스'에 따르면 1977년 세상을 떠난 록 음악의 황제 엘비스 프레슬리는 2003년까지도 무려 4,000만 달러(한화 약 480억)를 벌어들였고, 그 음악적 유산은 그 이상으로 값진 것이다. 한국의 가수 보아는 일본 활동으로 벌어들인 금액만 1,500억 원 이상으로 차라리 1인 대기업에 가깝다고 해도 좋을 정도로 막대한 경제적·문화적 부가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외의 저작권을 보호하려는 노력을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이다. 거리의 악사들도 수입이 생기면 자진해서 저작권료를 납부하는 네덜란드와 치과에서 환자의 ..

저작권의 상속과 저작물의 변형 사용

저작권의 상속 우리나라의 '애국가'는 2005년까지 안익태 선생의 유족들이 연 평균 560만원의 저작권료를 받았다. 현재는 '한국인들이 애국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청원운동 끝에 2005년 3월 정부가 무상으로 권리를 기증받은 상태이다. 음악 저작물의 변형 사용 샘플링Sampling 기존 곡의 일부분을 반복되게 미리 재생시켜 거기에 맞춰서 노래하거나 연주하는 것을 샘플링이라고 한다. 원곡의 멜로디, 가사, 리듬, 편곡 방식 등을 사전 허락 없이 사용하면 저작권 침해가 되며 저작자로부터 저작권 이용 허락을 받으면 정당한 샘플링으로 인정된다. 우리나라 가요계에 급증하고 있는 샘플링 곡들은 원작자의 사용 허가를 받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무단 사용인 경우가 많다. 리메이크Remake 혹..

저작물의 범위

보호받을 수 있는 저작물의 범위 1. 우리나라 사람이 창작한 저작물2. 우리나라가 가입한 조약에 의해 보호되는 외국인의 저작물3. 우리나라에서 상시 거주하는 외국인의 저작물 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행된 저작물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의 기준(저작권법 제 7조) ①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②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③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의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등④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작성한 것으로 제 1호 내지 제 3호에 규정된 것의 편집물 또는 번역⑤ 사실의 전달에 불과한 시사 보도

음악 저작권에 대한 정의

저작권Copyright이란? 저작물을 창작한 사람이 그것을 스스로 이용하거나 다른 사람이 그런 방식으로 이용하는 권리를 말함. 저작권은 창작과동시에 발생하는 권리지만 또한 시간적 범위, 즉 유효기간도 존재합니다. 저작 재산권 : 저작자가 생존하는 동안과 사망 후 70년간 존속저작 인접권 : 실연을 한 때, 음반을 발행한 때, 방송을 한 때로부터 그다음 해부터 기산하여 70년간 보호저작 인격권 : 별로의 규정이 없어 사망과 동시에 소멸한다고 볼 수 있지만 저작자의 인격적 이익은 사망 후에도 보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