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투표를 통해 선택된 후보자 중 누구로 결정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국민의 투표를 의회 의석으로 전환하는 방식에 따라 당선자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대표 결정 방식은 보편적으로 단순 다수제와 비례 대표제로 나뉜다. 단순 다수제는 한 선거구에서 가장 많은 표를 획득한 후보가 당선되는 방식으로, 주로 소선거구제와 결합하여 시행된다. 이 방식은 당선자 결정이 쉽게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당선 가능성이 큰 주요 정당 후보에게 전략적으로 투표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요 정당 후보가 의회의 다수 의석을 확보하게 되어 정국이 안정되는 효과도 있다. 1
반면 당선 가능성이 낮은 소수 정당 후보를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투표하지 않아 투표율이 매우 낮아지거나, 투표에 참여하더라도 사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단순 다수제는 특정 지역에서 압도적 지지률을 받는 정당이 유리하다.
- 단순 다수제 : 총 유효 투표 중 가장 많은 표를 획득한 후보가 당선되는 방식으로, 총 유효 투표의 과반수를 획득한 후보가 당선되는 절대 다수제와 구분된다. [본문으로]
반응형
'법法과 정치 > 정치의 성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표율 하락과 민주 정치 (0) | 2016.02.14 |
---|---|
비례 대표제의 특성과 법적인 근거 (0) | 2016.01.27 |
선거구 제도의 종류와 장단점 (0) | 2015.12.21 |
선거구 법정주의와 획정의 공정성 (0) | 2015.12.06 |
지지자는 없고 당선자만 있는 선거 풍토! (0) | 201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