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국내 이민자에게도 참정권을 부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포럼에서 ○○○은 "한국 사회가 이주민에게 공동체의 법과 규칙을 따르라고 떳떳하게 요구하려면 이들에게 공동체의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마땅리 주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그는 이민자들도 내국인들과 마찬가지로 주민세 등의 세금을 부담하고 자녀를 학교에 보내는 등 지역 주민으로서 책임을 다하는 만큼 참정권을 제한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문제기 있다고 지적하였다.
오늘날 이민자에게 참정권을 부여하는 제도는 유럽 연합을 비롯해 뉴질랜드, 칠레, 이스라엘 등 여러 나라에서 채택하고 있으며, 그 수가 점점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는 국내 외국인에게도 정치 참여를 허용함으로써 사회 내 잠재된 불만과 갈등을 제도권 내로 수용하는 통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인정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국내에 체류하는 전체 외국인 116만 8,000여 명 중 2%만이 참정권을 가지고 있다. 이는 이민자에 내한 배타성을 보여 주는 우리 사회으 현주소이다.
반응형
'법法과 정치 > 헌법과 국가기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태일, '노동자들의 인권'을 위해 투쟁하다 (0) | 2016.06.17 |
---|---|
사회권을 통한 인간다운 기본 생활 보장 (0) | 2016.05.31 |
참정권 - 국가의 정치 과정에 참여할 권리 (0) | 2016.04.28 |
'여학생 휴게실'은 평등권 침해인가? (0) | 2016.04.10 |
평등권 - 정의의 관점에서 평등한 대우 (0) | 2016.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