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중 음악/사회 속 음악42

실용음악을 전공하는 후배들에게 음악을 준비하는 후배들에게 좋은 말만 해주고 싶고, 또 모두가 잘 될 거라는 말을 하고 싶은 마음이지만, 졸업 후 음악으로 직업을 택하고 살아가게 될 때 적잖은 벽이 여러분들 앞에 있고, 결코 한 1, 2년 열심히 한다고 자기 분야에서 출중한 실력을 갖고 성공하기란 무척 힘들다는 것을 알았으면 합니다. 여러분이 아는 훌륭한 연주자나, 작곡자, 편곡자, 그리고 가수들도 대부분 힘든 시간을 보낸 시기가 있었고, 그런 시간들을 잘 견디며 실력을 키워 왔기 때문에 성공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제 주위에서 몇 년 열심히 하다가 포기하는 사람들을 많이 보곤 합니다. 그만큼 성공하고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음악인이 되기란 쉽지 않습니다. 제가 실용음악을 전공하고 싶은 후배들한테 해주고 싶은 말은 여러분.. 2016. 4. 6.
실용음악에 대한 정의와 범위 음악 전공자가 되기 위해서는 여러 관련학과가 있지만 그 중 많은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진학하고싶어하는 실용음악과가 있다. 실용음악이란 원래 가정이나 모임에서 실제로 아마추어가 연주할 수 있도록 작곡된 음악을 가리키는데, 주로 연주회에서 전문가에 의해 연주되는 '그 자체를 위해서 작곡된 음악'이나 '예술을 위한 예슬'과 대비된다. 하지만 오늘날의 실용음악은 실제 생활에서 사용되는 음악을 총칭하며, 대중음악, 생활 음악이라고도 한다. 학과 영역 보컬 및 기타, 드럼 등 악기 전공으로 입시를 치르며, 입학 후에는 각 분야에 필요한 세부 전공으로 나뉘어 음악을 배운다. 적성 및 노력 평소 대중음악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피아노를 기본으로 하여 한 가지 이상의 악기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 또한 .. 2016. 3. 22.
음악관련과 졸업 후 진로 1. 진출 분야 음반 제작 회사, 합창단, 연주단체, 오페라단, 출판사, 방송사, 중·고등학교, 음악 학원 등으로 진출할 수 있다. 2. 관련 직업 연주자, 작곡가, 편곡가, 지휘자, 뮤지컬·영화·광고 음악 작곡가, 가수, 국악인, 중등 2급 정교사(음악), 음악 강사, 행사 기획자, 음악 관련 잡지 및 출판 관련 취재기자, 음악 치료사, 음향 기사, 녹음 기사 등의 일을 한다. 3. 관련 자격증 음악 치료사, 무대 음향 전문인, 방송 영상 기사,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 실기교사 등이 있다. 2016. 3. 7.
음악 계열 관련 학과와 교육과정 음악 관련 학과로는 여러 가지 세부 전공이 있지만 크게 기악, 성악, 작곡, 국악, 음악 교육, 실용음악의 6가지로 나눌 수있으며, 주로 배우는 과목은 기초 과목과 전공별 이수 과목이 있다. (1) 기초 과목 : 시창, 청음, 음악 이론, 화성학, 관혁악, 합창 등 (2) 이수 과목 2016. 2. 22.
음악 전공자가 되기 위한 모색 음악이 없는 세상은 얼마나 삭막할까? 그런 점에서 음악인은 많은 사람들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감수성을 안겨다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음악인은 어떤 과정을 통해 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에서 무슨 일을 할까? 음악인이 되기 위해서는 풍부한 음악적 감수성과 창의력을 위해 평소 영화, 연극, 뮤지컬, 문학 등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음악 전공자가 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과 진로에 대해 알아본다. 학과 영역 음악 분야는 악기 연주, 성악, 작곡 등으로 크게 나눌 수있고, 서양음악 뿐만 아니라 전통 음악 그리고 대중들에게 친숙한 방송, 영화, 가요 등의 연주, 보컬, 작곡을 공부하는 실용음악까지 그 영역이 다양하다.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 훌륭한 음악인들은 타고난 재능 뿐만.. 2016. 2. 7.
음악과 진로 직업 음악을 통해 사회활동을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음악 분야는 악기 연주, 성악, 작곡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서양 음악뿐만 아니라 국악, 대중들에게 친숙한 방송, 영화, 가요 등의 연주, 보컬 작곡을 공부하는 실용음악까지 다양하다. 이 단원에서는 사회활동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음악을 살펴보고 그 진로에 대하여 알아보자. 2016. 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