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악樂이란/악기의 세계 41

활로 켜는 예민한 소리 해금

해금은 중국 북방의 유목 민족인 해족의 악기가 고려 때 전래된 것이다. 말총 활대를 두 줄 사이에 끼우고, 말총에 송진을 바른 다음 활을 밀거나 당기면서 줄을 문질러 소리 내는 찰현 악기이다. 해금의 두 줄은 완전5도로 조율하는데, 해금에는 일정한 음자리가 없고 줄을 잡는 손의 위치와 줄을 당기는 장력에 따라 음높이가 정해진다. 해금은 현악기이면서도 관악 합주에 편성되어 관악기와 현악기와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요즘에는 해금 산조와 창작 국악곡 독주 악기로도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다.

청을 울려 소리를 내는 대금

대금은 중금, 소금과 함께 신라의 삼죽三竹 가운데 하나이다. 젓대라고도 부르며, 정악 대금과 산조 대금이 있다. 대금은 취공 1개, 청공 1개, 지공 6개와 음높이를 맞추기 위한 칠성공이 있고, 청공에는 청을 붙여 연주한다. 청은 갈대 속에서 뽑아낸 얇은 막을 말하며 대금을 연주할 때 미묘한 음의 떨림으로 대금 소리를 신비롭게 만들어 내는 구실을 한다. '영상회상', '여민락', '보자허', '낙양춘', '본령' 등의 정악에 사용되고, 시나위, 민요, 산조 등 민속악에도 쓰인다.

작지만 당찬 소리를 내는 피리

전통 음악 연주에 사용되는 피리는 향피리, 세피리, 당피리의 세 가지가 있다. 즉, 세 가지 피리 모두 관대에다 서를 꽂아 세로로 부는 악기이다. 향피리는 음악에 따라 정악 관대, 민요 관대, 시나위 관대 등으로 나눈다. 세피리는 향피리와 거의 같으나 관이 가늘어 작은 음량을 내므로 가곡 반주나 줄풍류에 주로 사용된다. 당피리는 향피리보다 관이 더 굵고 힘찬 소리를 낸다. '보허자', '낙양춘', '여민락만' 등의 연주에 사용된다.

춤 반주의 악기 편성, 삼현 육각

삼현 육각은 우리나라의 크고 작은 거의 모든 행사 음악에 사용되었다. 혼례나 회례 등의 축제에서부터 승무, 겸무, 탈춤 등 민속 무용의 반주, 귀인의 행차를 위한 행진 음악과 상여 소리에 이르기까지 관아나 민가의 구분 없이 여러 의식에 두루 필요한 실용 음악으로 연주되어 왔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무동〉 이 춤은 반주 음악을 연주하는 악기 편성을 '삼현 육각'이라 한다. 그림 왼쪽 위에서부터 좌고1, 피리2, 대금1, 해금1이다.

타악기 만들어 악기 원리 이해하기

생활 주변의 여러 가지 재활용 재료들과 물체들을 이용하면 다양한 음질의 타악기를 만들 수 있다. 병이나 컵에 일정한 양의 물을 채운 후 젓가락 등으로 연주하는 서율 타악기를 만들 수도 있고 다양한 크기의 나무나 두꺼운 종이로 된 박스, 깡통, 대야 등에 두꺼운 종이 또는 비닐, 가죽 등을 씌우면 여러가지 북소리가 나는 타악기를 만들 수 있다.

리듬 타악기의 특징

큰북bass drum 몸통 양쪽이 가죽으로 대어 있으며 탄성이 있는 벨트나 털조각을 넣은 공 모양의 북채로 한쪽 면의 가죽을 친다. 작은북snare drum 막면에 스네어(울림줄)가 가로질러 매어 있어서 이로 인하여 건조하고 경쾌한 음색이 발생한다. 트라이앵글triangle 음색이 높고 선명하여 오케스트라의 색채에 발랄함을 주며 어떠한 합주에서도 색채감이 뚜렷하다. 탬버린tambourine 작은북의 형태 둘레에 징글jingles이라고 하는 쇠조각이 달려 있다. 다양한 연주법으로 생기 있는 리듬과 악센트를 주기 위하여 사용된다. 탐탐tam-tam 공Gong이라고도 하며, 청동 원반으로 되어 있다. 힘을 주어 강하게 울리면 매우 요란하고 웅장한 분위기를 낸다. 심벌즈cymbals 금속제의 원반으로서 보통 2..

선율 타악기의 특징

선율 타악기 구조와 소리 특성 팀파니timpani 북 중에 유일하게 음정을 내는 악기로 음높이가 다른 2개 이상의 북을 1조로 사용한다. 베토벤에 의해 가능성이 한층 깊어졌고, 오케스트라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실로폰xylophone 속이 빈 공명관 위에 음정을 가진 나무 건반이 걸려 있다. 약 4옥타브의 음역을 가지고있으며 음색은 건조하고 공명은 마림바보다 부족하다. 마림바marimba 실로폰과 모양 및 연주법이 비슷하지만 공명이 보다 풍부하며 맑고 청아한 음색 때문에 독주 악기로 활발히 쓰인다. 비브라폰vibraphone 강철판을 때려서 연주하게 되어 있지만 공명관과 진동 장치를 통해 소리가 전달된다. 선율과 화성의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페달 장치가 있어서 소리를 지속시킬 수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