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악樂이란/악기의 세계 41

관악기의 특징과 음색

플루트 가로로 부는 것이 특징이며, 입으로 불어넣은 바람이 원통 속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소리를 낸다. 가족 악기로는 고음 악기인 피콜로가 있다. 오보에 관현악단에서 조율의 기준이 되는 악기이다. 다소 연주하기 힘든 악기이지만 투명하고 감미로운 음색을 가지고 있다. 가족 악기로는 잉글리시 호른과 오보에 다모레 등이 있다. 클라리넷 관악기에서 가장 음역이 넓고 표현이 다양해 현대 작곡가들에게 인기가 많다. 소프라니노, 알토, 베이스, 더블 베이스 등 가족도 많다. 바순 따뜻하고 안정된 소리를 갖고 있는 가장 낮은 음역의 목관 악기이며, 가족 악기로 낮은 음역을 더욱 보강한 콘드라 바순이 있다. 색소폰 부드러운 목관 악기와 강렬한 금관 악기의 음색을 함께 지닌 악기로서 소프라노, 알토, 테너, 바리톤, 베..

관악기의 종류 - 목관 악기, 금관 악기

관악기는 나무로 만들어진 목관 악기와 쇠로 만든 금관 악기로 구분된다. 목관 악기는 리드의 사용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한다. 리드가 없는 플루트와 리코더, 홑리드를 사용하는 클라리넷과 색소폰, 겹리드를 사용하는 오보에와 잉글리시 호른, 바순 등이 있다. 금관 악기는 관의 길이와 굵기, 그리고 재질 등으로 음정과 음색이 결정된다. 관악기에는 고음역을 맡는 트럼펫과 코넷, 중간 음역의 호른과 트롬본, 저음역의 튜바, 수자폰 등이 있다.

관악기의 기원과 역사

관악기는 기원전 2,800년경 고대 그리스의 리드 악기인 아올로스aulos를 기원으로 한다. 예전의 관악기는 나무, 흙, 동물의 뼈 등 주로 자연에서 채취한 재료로 만들어졌으나 요즘에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목관 악기에 사용되는 리드의 경우 고대 그리스에서는 갈대의 탄력이 제일 좋은 초여름에 갈대를 채취하여 다음 해 봄까지 건조시켜서 사용했지만 오늘날에는 공장에서 만들어진 제품을 주로 사용한다. 금관 악기는 1815년 호른 연주자 하인리히 스튈첼H.Stolzel이 밀폐식 벨브 2개를 사용하여 약 3옥타브를 연주할 수 있는 호른을 제작함으로써 금관 악기의 발전 방향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밸브는 음높이를 조정하는 보조관들로, 공기를 통과시키는 역할을 함..

현악기 만들어 악기 원리 이해하기

나무 판자, 나무 막대, 울림통으로 활용할 구멍이 뚫린 상자(종이, 나무) 등을 준비하고, 줄을 맬 수 있는 고리를 만든 다음 여러 가지 줄(낚시 줄, 고무줄, 실, 금속선 등)들을 팽팽하게 당겨 원하는 음정을 만들어 고정시킨다. 생활 주변에서 소리를 만들 수 있는 줄들을 구입하거나 수집한다.울림통은 재활용품(패트병, 나무 상자, 종이 상자 등)을 이용한다.손가락으로 음정을 만드는 지판은 평평한 것이 좋고 원하는 음색을 생각해서 재료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현악기 폐품들을 적절히 이용한다.친구들과의 협력을 통하여 좋은 소리를 낼 수 있는 악기를 만들도록 노력한다.

현악기의 조율과 음역 -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하프

현악기는 모두 A(라)음을 기준으로 조율한다.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의 현은 각각 완전5도로 조율하는데, 더블 베이스는 완전4도로 조율한다. 비올라와 첼로는 같은 음정의 현을 가지고 있어서 조율법이 같으나, 바이올린과 더블 베이스는 현의 음정이 정반대이므로 조율법도 반대이다. 때때로 특수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조율을 다르게 하는 경우도 있다. 바이올린,비올라, 첼로, 더블 베이스 및 하프의 고정된 조율음과 음역을 다음과 같다. 대표적인 현악기 협조곡 - 바이올린 : 베토벤, 멘델스존, 브람스, 브루흐, 차이콥스키 등- 비올라 : 텔레만, 슈베르트 등- 첼로 : 드보르자크, 슈만, 랄로 등- 더블 베이스 : 보테시니 등

현악기 소리의 발생 원리

현의 음높이는 공명통(판)의 성질과 현의 길이, 굵기, 무게, 장력(평평한 정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현이 울리는 진동수, 즉 음의 높낮이는 현의 길이에 반비례하고 장력이 클수록 비례하며 질량이 클수록 반비례하고 진폭(소리의 크기)은 가해지는 힘에 따라 다르다. 현악기에서 소리를 얻는 방법은 현을 퉁기거나 두드리기, 활로 긋기 등이 있다. 이중에서 가장 좋은 소리를 얻는 방법은 활을 사용하는 것이다. 활을 사용하면 진동 에너지의 공급이 계속될 수있어 소리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고, 연주할 때 사용하는 활의 위치와 활 털의 폭에 의해 다양한 소리와 음색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현악기의 다양한 연주법

현악기의 기원과 역사 - 기타라Kithara, 비올라Viola

현악기의 기원이 되는 악기는 그리스의 기타라Kithara이다. 오늘날의 '비올라Viola'는 바이올린족의 알토 음역을 담당하는 악기를 뜻하지만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에는 활을 이용하는 현악기를 총칭하였다. 바이올린Violin은 '축소된 비올라'라는 뜻으로 바이올린족에서 가장 높은 음역을 담당하고, 비올라보다 크다는 의미를 가진 비올로네Violone는 바이올린족에서 가장 낮은 음역을 연주하는 더블 베이스를 말한다. 비올로네Violone의 축소형인 비올론첼로Violoncello는 바이올린족에서 저음을 담당하며 줄여서 첼로라고 부른다. * 현의 재료 동물의 내장Gut과 명주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금으로 만든 현도 있었다. 최근에는 나일론과 금속이 보편화되어 가는 금속선을 감아서 만든 현을 많이 사용한다.

악기 분류의 주요 체계

일반적으로 악기를 크게 현악기, 관악기, 타악기 3가지로 분류하는데, 이러한 분류 방법은 세상의 모든 악기들을 분류할 수 있는 조건이 되지 못한다. 설령 분류한다고 해도 특정한 악기들 외에 세상의 많은 악기들이 분류 방법에서 왜곡될 수밖에 없다. 세계의 수많은 나라들 중에서 중국과 인도, 서유럽의 음악 문화만이 악기들의 분류 방법을 연구·개발해 왔다. 고대 중국의 분류 방법은 금속, 돌, 흙, 가죽, 비단, 박, 대나무, 나무 등 8가지의 악기 제작 재료[八音]에 근거하고 있다. 기원전 1세기경 고대 인도의 음악 문헌 『나타샤스트라』에 의하면 악기를 심벌즈, 공, 종을 하나로 분류하고, 그 외 북, 현악기, 관악기 등 4개의 악기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벨기에 브뤼셀음악원의 악기박물관장이었던 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