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法과 정치/민주 정치란36

정치의 성격은 양면성과 권력성 사회적인 대립 때문에 형성된 정치적 쟁점은 양면성을 지닌다. 양면성은 서로 대립하는 양측이 각기 추구하는 가치가 다른 데에서 비롯딘다. 예를 들어, 사형 제도에 관한 정치적 쟁점에는 생명의 가치를 존중해야 한다는 반대의 견해와 범죄 예방 및 질서 유지라는 가치를 더 중시하는 찬성의 견해가 쟁점을 형성하고 있다. 정치적 쟁점에는 상반되거나 대립적인 가치가 동시에 들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 가는과정, 즉 정치는 그 자체로 좋고 나쁨, 옳고 그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양면성을 지니는 것이다. 정치는 권력 현상으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개개인은 각자가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합법적으로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하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대립하는 다른 가치를 지배하기 때문이다. 정치적 쟁점을 해결하는 과정에.. 2015. 4. 29.
이스턴D. Easton의 정치 체계론 정치를 사회적 가치의 권위적인 배분 현상으로 보는 이스턴은 이해관계를 둘러싼 대립과 갈등을 해결할 수있는 정책 결정과정을 중시한다. 정책의 결정은 하나의 정치 체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정치 체계는 유기체가 생명을 유지하고 성장하는 데 필요한 양분을 섭취, 소화, 대사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사회 구성원의 요구를 파악하여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고 요구를 실현해 가는 일련의 투입-산출 체계를 말한다. 정치 체계가 잘 갖추어져 있으면 이해관계의 대립을 해결하고 사회를 유지하는 가운데 발전을 이룰 수 있다. 2015. 4. 20.
정치의 의미와 권력의 발생 · 인간은 자유로운 몸으로 세상에 태어났다. 그럼에도, 언제 어디서나 쇠사슬에 얽매여 있다. - 루소J. J. Rousseau - · 인간은 본래 무엇이든 상대하여 투쟁하려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자연과 투쟁하고, 자신과 투쟁하며, 그리고 인간과 투쟁한다.- 러셀B. Russell - 사람들이 추구하는 가치는 명예, 물질, 사회적 지위, 사랑, 평화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이러한 가치는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러셀은, 인간은 제한된 가치를 누구보다 먼저, 지금보다 더 가지려고 항상 경쟁하는 삶을 살게 된다고 보았다. 끊임없는 경쟁은 상대적 결핍과 불만족을 낳고, 좌절감과 박탈감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즉, 삶은 이해관계가 대립하고 충돌하는 상황에 놓여 있는 것이다. 루소가 말하는 .. 2015. 4. 9.
정치의 의미와 기능 생각 열기 [ 갑의 생각 ] 공공 정책을 결정하는 과정에 시민이 직접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간접적으로라도 참여하기 위하여 활동할 수 있는 단체도 별로 없다. 사람들은 일상생활에 얽매여 공적 영역에서 일어나는 일에는 관심도 없고, 참여할 기회가 있어도 의욕마저 없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민주주의는 사상누각에 지나지 않는다. [ 을의 생각 ] 정치는 권력을 보유·확대하고 과시하는, 즉 권력을 위한 투쟁이다. 따라서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곧 권력의 배분에 참여하는 것이며, 권력 배분에 참여함으로써 더 많은 권력을 쟁취할 수 있게 된다. 2015. 3. 27.
민주 정치와 법에 관련된 명언 좋은 삶을 위한 무대는 민주 정치 공동체이다. 시민은 정치 공동체에 자유롭게 참여하고 최선의 결정을 내리는 구성원이다. 잘 산다는 것은 이러한 시민과 함께 일하고 집단적으로 공동의 운명을 결정하면서 정치적으로 활동하는 것이다. - 왈저M.Walzer, “정치 철학 에세이” - 법이 다른 권위나 집단에 종속되고 그 자체의 권위를 갖지 못한 곳에서는 국가의 붕괴가 일어난다. 그러나 법이 정부의 주인이고 정부가 법의 노예가 될 때, 국가는 약속에 가득 찰 것이고, 사람들은 국가에서 부여하는 모든 은총을 누리게 될 것이다. - 플라톤Platon, “법률” - 2015. 3. 22.
법과 정치의 기본을 공부하면서 쓰는 길잡이 글 '법'이나 '정치'라는 용어를 접하게 되었을 때, 보통 어떤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나요? 혹시 법이나 정치와 관련해서 특정 인물이 떠오르나요? 태통령, 국회 의원, 판사, 검사, 변호사·····. 그 외에도 왠지 난해하고 어려운 용어가 가득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내용이 많을 것이라는 생각이 드나요? 일반적으로 '법과 정치'라 하면 생소하고, 어려운 용어가 많고, 내용이 어려워 접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인상을 줍니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선입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 '법과 정치'는 그 어떤 분야보다도 우리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간은 정치적 동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인간은 일상적으로 정치를 하고 법을 비롯한 규칙을 만들어 사회를 유지·발전시킵니다. 즉, 사회의.. 2015. 3. 17.